JavaScript(3)
-
JavaScript 04 : 객체와 배열
출처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F6t61yuPCY Javascript 이해하기 1. 객체 이해하기 01 객체 정의 # 중괄호로 감싸지며, 내부값은 key:value 형태를 지닌다. const superman = { name:'clark', age:33, } 마지막 쉼표는 없어도되지만, 수정/삭제의 편의성을 위해 콤마를 붙여주자 02 객체 접근 # 딕셔너리 사용법과 거의 동일하다 # 1. 접근 superman.name // 'clark' superman['age'] // 33 # 2. 추가 superman.gender = 'male'; superman['hairColor'] = 'black'; # 3. 삭제 delete superman["hairColor"] delet..
2022.07.15 -
JavaScript 03 : switch문 / 함수 기초
출처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F6t61yuPCY Javascript 이해하기 1. switch 문 if else 구문을 알면 몰라도 되지만, 선택지가 여러개일경우 코드가 깔끔해짐. let fruit = prompt("무슨 과일을 사고 싶나요?"); switch(fruit){ case "사과" : console.log("사과는 100원입니다."); break case "오렌지" : console.log("오렌지는 200원입니다."); break case "수박" : console.log("수박은 300원입니다."); break // if의 else역할 default : console.log("그런 과일은 없습니다."); } 2. 함수 정의 01 함수형태 functio..
2022.07.06 -
JavaScript 01 : 변수 / 자료형 / 형변환
내용출처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F6t61yuPCY Javascript 이해하기 1. 변수 변수선언시 알아둘 점 끝에 세미콜론 붙여야 한줄 끝임을 인지 변수를 print할 경우 사용하는 방법 name = "Mike"; age = 30; // 방법1 alert(name) // 방법2 console.log(name) 주의할점은 위처럼 변수선언하는것은 문제라는 것 왜냐하면 다시 변수 선언시, 덮어씌워지기 때문 유일한 변수임을 선언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음 // 방법1 ( let 사용 ) let grade = "F"; // .... 1000 lines let grade = "A+"; --> 이처럼 선언시, 위에서 grade를 let로 선언했기에 에러발생 grade = ..
2022.07.06